취미/영화

슬픔보다 더 슬픈 이야기

어둠속검은고양이 2017. 5. 16. 18:29


슬픔보다 더 슬픈 이야기


감독 : 원태연

주연 : 권상우, 이보영, 김범수, 정애연


2009년에 개봉한 멜로영화다.

한 마디로 정의하자면, 슬픈 사랑 이야기를 위한 무대.


제목을 보아하니 주제의식이 분명하다고 해야 하나?

분명 눈물나도록 슬픈 이야기다. 하지만 그 슬픈 이야기를 위해 모든 것을 억지로 맞춘 듯한 느낌이 든다. 소설도 있다고 하던데, 영화보단 소설화 시키는 것이 더 적절한 이야기라는 생각이 든다. 영화로 나타내기엔 호흡이 너무 짧다. 영화의 장점이 영상으로 압축시켜 보여준다는 것이지만, 문제는 '이야기' 자체가 긴 호흡, 긴 흐름, 인물의 심리묘사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.


처음 전개방식이 좀 어색하다. 분명히 부자연스러운 흐름이 있다. 그것이 영화의 몰입을 깨뜨리고 만다. 그것은 치명적이라 생각한다. 첫 인상이 나쁘면, 그것을 되돌리기란 여간 힘든 것이 아닌 것처럼, 영화의 후반부까지의 시각마저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.


하지만 이 첫 흐름마저도 감독이 의도한 것이라면 대단한데? 라는 말이 나올만 하다. 후반에 전개되어지는 흐름으로, 초반 흐름의 부자연스러움을 이해하게 되면서 감동이 배가 되기 때문이다. 이러한 전개방식이 여타 멜로영화와는 다른 이 영화만의 개성을 갖추게 해준다. 혹 감독은 이러한 감동과 개성을 위해서 초반의 부자연스러움에 도박을 한 것일지도 모르겠다. 하지만 초반의 흐름의 부자연스러움은 여전히 단점이다. 


옛 영화에서나 볼 수 있는 몇몇 연출은 마음에 들었다.

주인공들의 심리를 대변한다거나, 상황에 대해서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옛 연출들이 정겹기도 하고, 좋기도 하고, 식상하기도 하고(?).


스토리 자체는 참 흔한(?) 이야기다. 누구나 생각할 법한 이야기. 영화를 보고 나면 '뭐야? 흔해 빠진 소재잖아?' 라고 생각이 들 법한 이야기. 그럼에도 눈물나는 이야기.


솔직히, 권상우의 연기를 보면서 몰입되지 않았다. 분명 주인공으로서 슬퍼야 할텐데.... 오히려 이보영의 입장일 때 더욱 공감이 가서 슬펐다. 영화를 보고나면 가슴 시리면서도 참 씁쓸하다.


서로를 바라보고 있으매, 서로 다른 곳을 보고 달려가는 느낌.

미묘하게 엇나가는 그 마음들이라 더 슬프고 씁쓸하다.



.........

사랑에 대해 생각해보게 만든다.

감독이 하고자 하는 말은 무엇이었을까?

이 영화가 말하고자 하는 것이 '슬픈 사랑 이야기'라면 그 슬픈 사랑 이야기가 하고자 하는 말은 무엇일까. 영화에서 제나(정애연)가 케이(권상우)에게 이렇게 말한다.


제나 : 가짜같애. 니가 하는 사랑처럼.

케이 : 그럼 진짜는 뭔데?

제나 : 배고프면 먹고, 아프면 울고, 재밌으면 웃는거 아냐? 너처럼 참는거 말고.


케이의 사랑이야기를 다루고 있지만, 그와 상반되는 제나의 의견에 귀를 기울이게 되는 것은 왜일까.


제나의 입장에 서서 보면(정확히 제 3자 입장에서 냉철하게 보면) 이 영화는 참으로 삐딱하게 보인다. 박혜은 평론가의 말처럼, '영원한 사랑에 뒤틀린 판타지와 사랑이라는 핑계의 이기적인 나르시시즘이 겹쳐진 공포영화'다. 놀라우리만큼 냉철한 분석이다.



미묘하다.

사랑에 대한 영화를 봤는데, 정 반대의 생각이 공존하게 되는 것다는 점에서.


희생적인, 남녀간의 사랑 영화가 보고 싶다면 추천드린다.

옛날 사랑 영화나 배우들의 옛 모습을 보고 싶다면 추천드린다.


신선한 멜로영화를 원한다면 비추드린다.

'취미 > 영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22년 후의 고백  (0) 2018.01.22
새벽의 저주(dawn of the dead)  (0) 2017.05.25
사다코 대 카야코  (0) 2017.04.03
소시지 파티  (0) 2017.04.01
스카우트 가이트 투 더 좀비 아포칼립스  (0) 2017.03.18